[우즈벡 투어①]‘우즈베키스탄에 꽂히다’•••연재를 시작하며
[아시아엔=최희영 <우즈베키스탄에 꽂히다> 저자] 1월 4일 책이 나왔다. 오늘(14일)로 꼭 열흘 됐다. 산후통이라고나 할까? 며칠쯤 가라앉았는데 다시 힘이 났다.
<아시아엔>에서 전화 한통이 걸려왔다. ‘우즈베키스탄 여행기’ 연재를 요청하는 전화였다.
<아시아엔>은 (사)아시아기자협회(AJA) 소속 기자들이 필진으로 참여해서 만드는 세계에 유래가 없는 매체다.
아시아기자협회는 지난 연말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을 ‘2018 아시아 인물’ 정치부문 수상자로 선정했다. 그런 인연으로 이 같은 연재도 기획된 것 같다.
이번 책은 필자가 세번째 내는 책이다. 첫 책은 <잃어버린 시간을 만나다>라는 제목으로 펴낸 라오스 인문 기행서였다.
두번째는 제물포 개항 130주년을 기념해 펴낸 인천 골목 기행서 <삼치거리 사람들>. 그때마다 산후통이 컸다. 막상 초판본을 받고 나면 부족한 게 여럿 발견됐다.
이번 책에서도 그런 아쉬움이 여지없이 드러났다. 그런 민망함을 <아시아엔> 연재로 보완할 수 있게 됐다. 그 점이 침잠돼 있던 나를 벌떡 일으켜 세운 이유다.
책을 내면서 서문을 생략했다. 그러다보니 고마웠던 사람들에게 인사조차 못 전했다. 책은 나 혼자 쓴 게 아니었다. 많은 사람이 도와줬다. 비탈리 편 주한 우즈베키스
탄 대사의 도움이 가장 컸다.
그는 우즈베키스탄 관광정보를 수시로 제공했다. 그러면서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의 관광 산업 활성화 정책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했다.
고려인 2세로서 한국대사직만 21년째인 그의 열정이 책을 쓰는 데 종종 자극제로 작용했다.
김창건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관 명예영사(에버그린모터스그룹 대표)의 도움과 우즈베키스탄 노동부장관의 정책고문인 김윤세 한국능력개발원 이사장의 도움 또한 컸
다. 필자는 2018년 한해 동안 6차례에 걸쳐 현지를 취재했다. 그때마다 두 사람이 여러 편의를 제공했다.
한-우즈베키스탄 무역협회 대표도 맡고 있는 김창건 대표는 수시로 우즈베키스탄 비즈니스 투어 정보를 알려줬다.
그리고 국제로타리 3710지구 총재를 맡았던 김윤세 이사장은 두 차례의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를 추진하며 그때마다 나를 현지 취재로 초대했다.
퇴임 뒤에도 지속적으로 아랄해 환경문제에 관심 갖는 반기문 전 UN사무총장의 격려 또한 힘이 됐다.
지난해 11월 아랄해 국제포럼에서 만난 그는 필자가 2018년 여름 무이낙 ‘배들의 무덤’을 방문하고 돌아와 우즈베키스탄 전문 매체인 <Uzkor Economy>에
쓴 글을 잘 읽었다며 아랄해를 다시 살리는 데는 언론의 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재에도 이들의 도움이 클 것 같다. 특히 우즈베키스탄 청년 페루자(Feruza)씨와 만수르(Mansur)씨가 여러 현지 정보를 새롭게 보태리라 기대한다.
이들 두사람은 최근 누쿠스에서 만난 사람들로, 그들에 대한 감동적인 이야기 역시 이번 연재(아랄해 ‘배들의 무덤’ 무이낙···여름, 그리고 겨울 편)에 포함된다.
관련기사링크